반응형

1. SVN Server와 SVN Client의 소스 동기화
이클립스 프로젝트에서 마우스 우클릭 후 Team > Synchronize with Repository

2. Synchronize 탭에서 보여지는 아이콘 의미

 
local에서는 수정되지 않았고, 서버에서만 수정된 파일로 Update하면 local이 수정됨


local에서만 수정하고, 서버에서는 수정되지 않은 파일로 Commit하면 서버가 수정됨


local에서도 수정되었고, 서버에서도 수정된 파일이므로 어디가 최신인지 확인해서 Update 또는 Commit을 해야 함


3. 로컬 소스를 서버로 Commit 또는 서버 소스를 로컬로 Update 하기

Commit : 서버로 내 로컬 소스를 올리는 작업으로 보통 작업 전에 Syncronize를 먼저해 본 후 본인이 작업하는 동안 다른 작업자가 작업을 해서 반영했는지 확인을 해야 충돌이 발생하지 않음

Update : 서버의 소스를 로컬로 옮기는 작업

Override and Update는 SVN 서버의 소스를 내 로컬 소스로 overwrite (SVN소스가 오리지널)
Override and commit는 내 로컬 소스를 SVN으로 overwrite (내소스가 오리지널)
요 두개는 일전에도 다루었었음
https://hippalus.tistory.com/621


















 

eclipse에서 SVN: Override and Update, Override and Commit

SVN으로 형상관리시 수정된 또는 수정할 소스를 충돌현상이 발생할 경우 먼저 대상 소스를 마우스 우클릭 Team > Synchronize with Repository 선택 update or commit시 충돌인 conflict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Over

hippalus.tistory.com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

반응형

ulimit -a 명령어를 실행해보면 아래와 같이 나타남

여기서 주의깊게 봐야 하는 정보는 file size로 소켓이 최대 접속 가능한 개수를 나타난다.
보통 1024개가 기본 설정인데 어지간한 소켓 서버라면 1024로는 턱없이 부족할터
 
파일 오픈 개수를 늘려야 한다.

root 권한으로 접속하여 /etc/security/limits.conf 열어서 아래처럼 수정하면 된다.

vi /etc/security/limits.conf
* soft nofile 400000
* hard nofile 400000

저장 후 터미널을 새로 로그인 하여 ulimit -a 명령어를 실행해보면 지정한 대로 접속 개수가 증가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고 client socket의 connection역시 성공적으로 연결됨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

반응형

일전에 cent os에 node.js 설치하기 글을 작성한적 있다.
https://hippalus.tistory.com/607

 

cent os에 node.js 설치하기

linux cent os에 node.js를 설치하기 위해선 yum을 이용하여야 한다. root권한이 있는 계정으로 접속한 후 yum repolist를 실행해보면 아래 스샷처럼 보통 초기엔 epel이란게 없기 마련이다. EPEL 저장소가 없

hippalus.tistory.com


이 방법 말고 더 나은 방법으로 linux에서 node.js를 설치하고자 한다.

먼저 node.js 홈페이지의 다운로드로 이동한다.
https://nodejs.org/en/download

 

Node.js — Download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여기서 Linux Binaries가 두 버전이 있는데 일반적이면 x64를 설치하면 된다.
x64: 대부분의 데스크톱 및 서버 시스템에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인텔 또는 AMD의 64비트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적합.
ARM: ARM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시스템에 대한 바이너리로 Raspberry Pi와 같은 임베디드 장치나 ARM 기반의 서버에 설치할 때 적합.

위 화면에서 64-bit의 링크를 마우스 우측으로 눌러 링크 주소 복사하기를 눌러 복사 한다.

복사해보면 2024년 2월 현재 다운로드 주소는 다음과 같다.
https://nodejs.org/dist/v20.11.1/node-v20.11.1-linux-x64.tar.xz

이제 리눅스로 접속 후 su명령어로 관리자 권한으로 진행한다.

노드가 설치될 폴더를 생성 후 해당 폴더로 이동한다.
cd /opt
mkdir nodejs
cd nodejs

앞서 복사했던 주소로 다운로드를 실행한다.
wget https://nodejs.org/dist/v20.11.1/node-v20.11.1-linux-x64.tar.xz

이제 다운로드 된 압축을 푼다.
파일명은 ls명령어로 확인하여 각자 맞는 파일명을 적어주면 된다.
다시 말하지만 파일명 등은 2024년 2월 현재 시점의 파일명이다.
xz -d node-v20.11.1-linux-x64.tar.xz
tar xf node-v20.11.1-linux-x64.tar

심볼릭 링크를 생성한다.
ln -s /opt/nodejs/node-v20.11.1-linux-x64 /opt/nodejs/node
ln 명령어는 심볼릭 링크를 생성하는 명령어로 -s 옵션은 심볼릭 링크를 생성하라는 것을 나타낸다.
그 뒤에는 실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경로를 지정하고, 마지막에는 생성될 링크의 경로를 지정한다.

/opt/nodejs/node-v20.11.1-linux-x64 경로에 있는 디렉토리를 가리키는 심볼릭 링크를 /opt/nodejs/node라는 이름으로 생성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opt/nodejs/node라는 경로로 접근하면 실제로 /opt/nodejs/node-v20.11.1-linux-x64에 있는 내용을 볼 수 있게 되므로 이는 더 간단하고 직관적인 경로로 Node.js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끝으로 환경 변수에 등록해 준다.
vim ~/.bashrc

제일 마지막 라인에 아래 라인을 추가 한다.
export PATH="$PATH:/opt/nodejs/node/bin"

저장 하고 나온 후 추가한 내용을 즉시 적용시킨다.
source ~/.bashrc

이제 아무 디렉토리에 가서 node -v를 실행해보면 현재 설치된 node의 버전이 확인 될 것이다.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

반응형

아이폰 앱스토어에 심사를 제출하려면 이런게 뜬다.

수출 규정 관련 문서가 누락이라니 뭔 소리여
그냥 관리 눌러주고 나오는 팝업이 나오는데
뭔 요상한 암호냐 싶지만 그냥 마지막 위에 언급된 알고리즘에 모두 해당하지 않음을 선택하면 된다.

매번 이러기 싫다면 프로젝트의 Info.plist 파일에서 아래와 같이 필드를 추가해 주면 된다.

앱스토어든 구글 플레이스토어든 매번 이상한 기준을 열심히 마련하고 강요해대는데 법적으로 이슈가 생겨서 그런건 알겠지만 매번 느끼지만 너무 불친절하다.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

반응형

즐겨찾기 해놓은 sessions(서버)리스트에서 마우스 우측을 눌러 Edit session 메뉴를 호출하자

그러면 저렇게 덩거러니 빈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Advanced SSH settings 탭을 누른다.

그리곤 Execute command에 아래와 같이 입력해준다.
export TMOUT=0
이어서 우측에 Do not exit after command ends 체크박스에도 체크를 해준다.


그리곤 OK를 눌러 저장 후 재접속 하여 사용하면 된다.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

반응형


VSCode의 좌측 하단의 톱니바퀴를 눌러서 검색에서 tab size를 입력하고 숫자를 변경하라던데 아무리 해봐도 안되더라

그냥 편집기 상태에서 우측 하단에 보면 저렇게 공백: 4라고 보일것이다. (숫자는 각자 상황에 따라 다름)

공백 부분을 클릭해주면 아래처럼 상단에 메뉴가 뜬다.
여기서 공백을 사용한 들여쓰기를 눌러준다.

그리고 원하는 탭의 크기를 선택해주자.

난 space 4개는 있어야 한다. 
속이 다 시원하다.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

반응형

일단 root 권한으로 접속을 하자.
su 입력 후 관리자 비번을 입력하면 요렇게 접속이 된다.

(반대로 이전 이용자로 돌아가려면 su - [아이디] 엔터로 복귀 가능하다.)

root권한을 획득 하였으면 lsof를 설치하자.
내 리눅스는 레드헷 계열이므로 
sudo yum install lsof 

설치가 됐다면 이제 사용중인 포트로 조회가 가능하다.

lsof -i :8976


요롷게 프로세스 ID (PID)가 나타난다.
이걸 죽여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다.
kill -9 <프로세스ID>

프로세스 ID가 15083이니까
kill -9 15083 을 입력하면 되겠다.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

반응형

Node.js로 FCM 푸시 서버를 만들어 항상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도록 하려면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forever나 pm2와 같은 프로세스 관리 도구를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도구를 사용하면 서버가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더라도 자동으로 다시 시작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일단 pm2를 전역으로 설치한다.
이때 반드시 su 계정으로 로그인하여야 한다.
다시 일반 계정으로 복귀하고자 한다면 su - 일반계정이름 엔터를 치면 된다.

npm install -g pm2
그런 다음, Node.js 애플리케이션을 pm2로 실행할 수 있다.

bash
Copy code
pm2 start your_fcm_server.js
이제 your_fcm_server.js는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실행된다.

만약 서버를 중지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한다.
pm2 stop your_fcm_server.js

또는 모든 프로세스를 중지하려면
pm2 stop all

더 나은 안정성을 위해, 서버가 리부팅될 때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음 명령어를 실행한다.

pm2 startup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pm2가 서버 리부팅 시에도 자동으로 시작되도록 설정된다.
이렇게 하면 Node.js 애플리케이션이 항상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pm2는 로그와 관련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므로, 서버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디버깅하는 데 도움이 된다.
pm2 logs

특정 프로세스의 로그만 확인하려면 프로세스 이름 또는 ID를 지정할 수 있다.

pm2 logs your_fcm_server

로고 출력 설정:
pm2에서는 로그의 출력을 여러 가지 형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JSON 형식으로 출력하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사용한다.

pm2 logs --json

로그 위치 확인
pm2는 각 프로세스의 로그를 파일로 저장한다. 
로그 파일은 기본적으로 ~/.pm2/logs/ 디렉토리에 저장되며, 특정 프로세스의 로그 파일 위치를 확인하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사용한다.

pm2 show your_fcm_server
이 명령어는 프로세스의 상세 정보를 보여주는데, 그 중에서 "log_path" 항목이 로그 파일의 경로를 나타낸다.

로그 파일을 삭제하려면 pm2 flush 명령어를 사용한다.
pm2 flush

실시간 로그 모니터링 중지인 
pm2 logs 명령은 실시간 로그 모니터링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Ctrl+C를 누르면 모니터링이 중지된다.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

반응형

SVN으로 형상관리시 수정된 또는 수정할 소스를 충돌현상이 발생할 경우 

먼저 대상 소스를 마우스 우클릭

Team > Synchronize with Repository 선택


update or commit시 충돌인 conflict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Override and Update는 SVN 서버의 소스를 내 로컬 소스로 overwrite (SVN소스가 오리지널)
Override and commit는 내 로컬 소스를 SVN으로 overwrite (내소스가 오리지널)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

반응형

바쁜분들을 위해 그리고 기초는 있다란 가정하에 3줄 요약
1. npm install oracledb@5.2.0

2. 아래 링크로 접속하여 client 설치 후 yum으로 install
https://www.oracle.com/database/technologies/instant-client/linux-x86-64-downloads.html
자신의 오라클 버전에 맞는 파일 다운로드(11g인 경우 Version 11.2.0.4.0의 RPM파일 다운로드)
 yum install oracle-instantclient11.2-basic-11.2.0.4.0-1.x86_64.rpm

3. vi ~/.bashrc를 입력해서 환경변수 설정
export LD_LIBRARY_PATH=/usr/lib/oracle/11.2/client64/lib:${LD_LIBRARY_PATH}

안 바쁘면 이제 시작~

보통 node.js로 oracle로 db connection을 하려면 npm install oracledb로 oracledb를 설치 후 아래와 같이 하기 마련이다.
dbConfig.js에 DB 연결 정보를 설정해 두고

// Oracle DB 연결 정보
const dbConfig = {
    user: 'myid',
    password: 'pwd123',
    connectString : "(DESCRIPTION =(ADDRESS = (PROTOCOL = TCP)(HOST = 200.100.80.10)(PORT = 1521)) (CONNECT_DATA = (SERVER = DEDICATED)(SERVICE_NAME = pos)))"
  };

  module.exports = dbConfig;


이를 require로 불러와서 getConnection으로 연결 후 DB조회, 처리
 

const
oracledb = require('oracledb');
const dbConfig = require('./dbConfig.js'); // dbConfig 파일을 불러옴

oracledb.getConnection(dbConfig, (err, connection) => {
    if (err) {
      console.error('Error connecting to Oracle:', err.message);
      process.exit(1);
      return;
    }
    console.log('=======');
    // 연결이 성공한 경우, 쿼리 실행
    connection.execute(
      'SELECT * FROM YOUR_TABLE', // 적절한 테이블명으로 변경
      [], // 바인드 변수 배열 (여기서는 사용하지 않음)
      { resultSet: true, outFormat: oracledb.OUT_FORMAT_OBJECT },
      (err, result) => {
        if (err) {
          console.error('Error executing query:', err.message);
        } else {
          console.log('Query result:', result.rows);
        }
 
        // 연결 종료
        connection.close((err) => {
          if (err) {
            console.error('Error closing connection:', err.message);
          } else {
            console.log('Connection closed.');
          }
        });
      }
    );
  });


그런데 안된다.
절대 안된다.

thin모드를 지원하지 않는단다.
도대체 왜??????

자랑스럽게 node oracledb 6.0에선 Thin mode를 지원한다고 발표한 상태다.


설치된 oracledb 모듈의 버전도 6.0을 넘어 6.2였다.

이윤즉슨 oracledb 모듈 버전이 6.0으로 올라서면서 thin을 지원하지만 
oracle 11g는 6.0으로 올려도 지원 자체가 불가능하다.
시간 많으면 여기가서 읽어보시라.
https://node-oracledb.readthedocs.io/en/latest/user_guide/appendix_a.html#id1

thin 모드와 thick 모드가 궁금하다면 chat gpt 센세에게 물어보면 잘 가르쳐 주신다.



결론은 node.js가 설치된 서버에 별도의 client를 설치해줘야만 한다.
또한 6.2버전을 thick 모드를 지원하는 5.2.0으로 다운그레이드를 해줘야 한다.
아니면 초장부터 5.2.0으로 설치 하던지
이렇게 말이다.
npm install oracledb@5.2.0

일단 oracledb는 5.2.0으로 설치완료했고
다음엔 망할 클라이언트 설치다.
바쁘면 그냥 아래 링크 눌러 다운받으면 된다.
* 오라클 11g용 Instant Client rpm파일의 다이렉트 링크는 아래와 같다.
https://download.oracle.com/otn/linux/instantclient/11204/oracle-instantclient11.2-basic-11.2.0.4.0-1.x86_64.rpm

바쁘지 않으면 천천히 읽어 내려가면 된다.

https://oracle.github.io/node-oracledb/INSTALL.html#prerequisites

3.2.1을 보면 Node-oracledb Installation on Linux x86_64 with Instant Client ZIP files가 보일것이다.
이걸 선택해주자.

 

그럼 node-oracledb.readthedocs.io란 사이트로 이동 할 것이다.
https://node-oracledb.readthedocs.io/en/latest/user_guide/installation.html#instzip

2.4.3.1. Oracle Instant Client ZIP Files에 x86-634 64-bit가 보일것이다.

이걸 선택하면 최종 종착지는 oracle.com이다.
https://www.oracle.com/database/technologies/instant-client/linux-x86-64-downloads.html

여기서 자신의 오라클 DB 버전에 맞는걸 다운받아 주면 된다.
내 경우 oracle 11g이므로 version 11.2.0.4.0을 눌러 Instant Client Package (RPM)을 다운 받았다.
RPM은 Redhat Package Manager의 약자로 Windows를 예를들면 setup.exe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그래야 yum으로 리눅스에서 install이 가능하기 때문인데 
YUM은 Yellowdog Update Manager의 약자로 RPM의 단점인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특정 패키지를 설치할 때 의존성이 있는 다른 패키지들을 자동으로 먼저 설치해주는 지능적인 툴이다.


다운받은 파일을 적당한 곳에 복사해 두고 해당 디렉토리에서 yum을 이용해 rpm파일을 설치한다.
 yum install oracle-instantclient11.2-basic-11.2.0.4.0-1.x86_64.rpm

혹시 다른 rpm파일을 잘못 설치했다면 리스트로 확인도 가능하고 제거도 가능하니 당황하진 말자
 yum list installed

제거하는 방법은
yum remove 패키지이름


마지막으로 환경변수를 설정해줘야 한다.



 vi ~/.bashrc 를 입력하자

export LD_LIBRARY_PATH=/usr/lib/oracle/11.2/client64/lib:${LD_LIBRARY_PATH}
이렇게 입력해주고 :wq로 저장 후 나가준다.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하려면 echo $LD_LIBRARY_PATH 를 입력해보자
/usr/lib/oracle/11.2/client64/lib: 
이렇게 뜬다면 정상이다.

이제 클라이언트 설치와 환경변수까지 모두 다 설정해줬다.
다시 node.js로 dbconnect 파일을 실행해보면 정상 접근이 가능한 걸 확인 할 수 있을것이다.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