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희향 이녀석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

알골도수 12도

용량 500ml

가격 11,500원 ~ 12,000원

구매처 : 자희향 홈페이지 온라인 구매, 서울 용두동 도원결의 오프매장


일전에 자희향 청주를 마셔보았을때 상당히 신선한 충격을 받은 기억이 있다.

그 첫맛의 달달함과 달달한 향까지 한두 잔까진 괜찮았지만 그 이상은 뭐랄까.. 초콜렛을 한번에 많이 먹으면 질리는 기분이랄까...

너무 달고 그 단 맛이 미각을 쏘아버리는 단점이 있었는데 자희향 막걸리 역시 조금 덜 할 뿐이지 마찬가지로 단맛이 매우 강하다.




자희향을 마실때 흔들기 전 침전물과 분리된 술만을 즐겨보았는데 어쩌면 자희향 막걸리는 흔들어 먹기보단 분리해 마시는게 나을지도 모르겠다.

(첫 잔이라 그리 느꼈을지도 모르지만)




다 흔들고 나니 탁하다란 표현은 아닌 부드럽고 고은 빛을 나타낸다.

아마 병이 한몫 하지 않았나 싶다.

어찌됐든 술이 매우 고급지니 막걸리 안주 역시 고급지게 나가보았다.

해산물 크림 스파게티와 치킨 샐러드

매우 잘 어울린다.




천잔은 수제맥줏잔에 따라보았으나....




역시 자희향은 작은 잔에 따라마시는게 나을듯 싶어 잔을 교체




살짝 살짝 음미하며 마셔보았는데

혼자 500ml를 다 마시기엔 좀 과하다.

게다가 지나치게 달고 단맛이 점점 미각을 쩔게 만들어 술술 넘어가진 않는 맛이다.




온라인으로 구매하실 분들은 구매하시라

http://www.jaheehyang.com/enamoo/shop/goods/goods_view.php?goodsno=8&category=


가격은 위에 써놨듯 12,000원

도원결의 도매상이 500원 더 저렴하다.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

반응형

약주에 대한 짤막한 지식


조선시대 흉년이 들어 조정에선 금주령을 내렸지만 약을 쓸 때 약이 빨리 듣게 하기위해 쓰는 술은 금하지 않았는데, 지배계층인 양반들은 관아에 약용이라 신고하고 술을 먹는지라 백성들이 이를 비꼬아 이르길 "양반네들 먹는 술이라 하여 약주"라 했다한다. 

예나 지금이나 윗것들의 천박함에 혀를 차게 만든다.

세월이 지나며 이것이 와전되어 청주를 일컬어 약주라고 부르게 되었고, 이 청주는 왜정시대를 지나며 수탈로 인해 먹을것도 부족한 마당에 술을 빚기가 어려웠던지라 맥이 끊겨 시중엔 백화수복이나 청하 정도를 쉽게 접할수 있는 반면 왜놈들은 지역 마다 사케 문화를 꽃피워 마트에서도 심심치 않게 찾아 볼 수 있다.

그나마 청하 Dry의 약진에 박수를 보낸다.




서두에 왠 왜놈 청주타령이냐 싶겠지만 자희향을 개봉하면 먼저 드는 생각이 어라?

그간 마셔온 익숙한 니혼슈(日本酒)의 깊은 향이 묵직하게 다가오기 때문이다.

찾아보니 자희향은 "향기가 너무 좋아 차마 삼키기 아쉽다"는 뜻의 "석탄향주(惜呑香酒)"를 복원한 술이라 한다.

아직 마셔보지 못했지만 술 빚는 공간인 옥수동 소마공방에서 일전에 석탄주를 마셔본 동호회 회원들의 그 기막힌 맛에 탄복했다는 풍문이 떠오른다.




이처럼 자희향의 가장 큰 장점은 고급 사케의 향이 그 제일이요.

둘째는 맛이라 할 수 있다.

매실에서 깊게 뿜어져 나오는 달달함이란...

시중에 판매되는 매실주와 비교 "깜"이 되지 않는다.




거기에 추가로 따랐을 때 자윽한 빛깔까지 어느하나 흠잡을 곳이... 곳을 찾는다면 바로 가격이라 하겠다.

500ml 한병에 2만 원이니 저가의 아이스와인 정도라 생각하면 편할 듯 싶다.




또다른 단점은 유통기한이다.

제조일로부터 30일.

생주는 역시나 유통기한이 짧다.




자희향 홈페이지에 소개된 관련 안주로는 치즈두부, 회, 한우, 소라데침, 샐러드 등이 열거되어 있어 이날 마땅한 안주거릴 찾지 못해 집에 있던 한우를 안주삼아 마셔본 결과 나쁘지 않았다.




구매할 수 있는 곳은 늘 그럿듯 동대문구 용두동에 위치한 팔도막걸리 도매상인 도원결의 매장

그리고 온라인 공식 쇼핑몰인 자희향 쇼핑몰에서도 구매가 가능하다.

두 곳 모두 동일한 가격에 팔고 있지만 도원결의는 1병씩 구매가 가능한 반면 자희향 쇼핑몰은 2병 이상 부터 구매가 가능하다.


끝으로 오사카 지역만 해도 청주 공장과 박물관들이 즐비하다.

반면 한국은 단일 술박물관으로 서울 근교 포천 끝자락에 산사원이 유일하다.

한국에도 죽력고, 자희향 같은 전통술을 한 지역에서 두루 돌아다니며 즐길 수 있는 문화촌이 생기길 바라는 마음은 욕심일까 싶지만 우리가 어떤 민족인가? 세계에서 술 잘마시기로 하자면 손안에 드는 그런 민족이 아닌가.

그런 나라에서 술 박물관과 술문화가 이리 척박하다라는건 자존심이 상하는 일이라 본다.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