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cent os에 node.js를 설치하기 위해선 yum을 이용하여야 한다.
root권한이 있는 계정으로 접속한 후 yum repolist를 실행해보면 아래 스샷처럼 보통 초기엔 epel이란게 없기 마련이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EPEL 저장소가 없으면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하여 저장소를 추가한다.
yum install epel-release
Y/N을 물어오는데 이 때 Y키만 눌러주면 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다시 처음처럼 yum repolist를 눌러보면 epel 저장소를 볼 수 있을것이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이제 본격적으로 node.js를 설치해본다.
yum install nodejs 을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아까 yum처럼 쭉 나오면서 Y/N을 물어볼 것이다.
이때도 Y만 눌러주면 된다.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이제 끝으로 npm만 설치하면 된다.
node.js에는 다양하게 개발된 package들이 존재한다.
이를 설치하기 위한 manager가 npm이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NPM을 설치한다.
yum install npm
![](http://t1.daumcdn.net/tistory_admin/static/images/xBoxReplace_250.png)
설치된 node의 버전을 보고 싶다면 node -v; 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된다.
설치된 npm의 버전을 보고 싶다.면 npm -v;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된다.
참고로 cent os 버전이 4.x면 node.js 설치가 불가능하다.
cent os 5에서부터 지원을 하는것 같긴한데 불확실하고 최소한 7이나 8정도로 업그레이드 해야 하나 보다.
역시 windows가 참 편하게 잘 만든 os다.
'모바일 & 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의 甲질 플레이스토어 계정 삭제 DUNS 정보 입력 요구 (0) | 2023.11.10 |
---|---|
불필요한 과금 폭탄을 막기 위한 Microsoft사의 Azure 구독취소 (0) | 2023.11.03 |
잘되던 개발 아이폰 device가 xcode에 개발 장비로 device 등록 불가 현상 and DT_TOOLCHAIN_DIR 오류 (0) | 2023.10.12 |
아이폰에서 wkWebview로 웹사이트 웹뷰 디버깅 하는 쉬운 방법 (1) | 2023.09.11 |
웹앱 개발시 모바일 웹에서 USER AGENT로 앱인지 웹인지 확인하기 (0) | 2023.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