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뭐 ^^ 그런가봅니다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

반응형

심심치 않게 천만 명의 개인정보가 유출 되었다네.. 그로 인해 피해액이 얼마로 추산된다네

2차피해는 또 어찌되네 집단소송 참여자가 몇명으로 증가했다네... 등등

잊을만 하면 뉴스가 나오고 또 잊을만 하면 뉴스가 나오지만 해결은 되지 않는 개인정보 보호


때문에 사이트를 운영하는 쇼핑몰이나 포털 등 인터넷 서비스 업체에선 정부시책에 따라 비밀번호 입력시 최소 자릿수와 특수문자 등을 반드시 포함시키는 등 비밀번호도 내 맘대로 못만들게 강제력을 동원하고 있다.


또한 때만 되면 비밀번호를 변경하라 강요하는 등 매우 불편한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시 되고 있는 각종 해킹의 대부분은 내부자나 전문 해커에 의한 유출이지 일반 개개인의 문제는 아니라 본다.

물론 0000, pass와 같은 어처구니 없는 수준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경우는 제외


상황이 이러하거늘 조건반사적으로 이용자를 고문하는 수준의 비밀번호 입력 수준 강요나 변경 요구는 책임을 고객에게 전가시키는것 같아 여간 불쾌한게 아니다.


특히 아이디까지 반드시 숫자와 자릿수를 강요하는 덜떨어진 서비스는 타이핑이 아까운 수준이 아닐 수 없다.

단순히 비밀번호 뿐만이 아니라 가장 문제시 되고 있지만 고쳐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 은행 보안 Active-X들도 마찬가지.

난 이정도 해놨으니 그 이후부턴 고갱님 책임이세요~

모든 기조가 이런식이니 이번 생애 이후에나 바람직한 방향으로 바뀌지 않을까 기대해 본다.


끝으로 개인정보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것인가도 참 어처구니 없다.

닉네임은 개인정보가 아니다.

이름은 개인정보가 아니다.

전화번호는 개인정보가 아니다.

그럼 닉네임 + 전화번호는? 개인정보란다.

닉네임 + 이름은? 개인정보란다.


정보에 대해 책임지려하는 모습으로 보이기 보단 책임 회피성으로 보여지지만

뭐 좋다.


이처럼 회원가입시 닉네임과 이름을 입력받아 개인정보를 다루는 웹서비스 회사는 보안서버라는 몇만원짜리 또는 무료 SSL이란 프로그램을 웹서버에 설치해야만 한다.


안그러면 수천만 원의 벌금을 물게 되어있다.

(참고로 우리가 흔히 스마트폰에서 자주 사용하는 위치정보서비스는 뒷골 잡는 수준이다.)


하지만 

지속 모니터링을 통해 모든 인터넷업체를 실시간 감시하는게 아닌 규모 좀 있는 네이버나 클리앙 뭐 그런 회사들에 대해선 벌금을 물리지만 무슨 타이어 소규모 쇼핑몰 같은 작은 사이트는 비공식적으로 예외라 한다.


법망은 촘촘촘촘촘촘촘촘촘하게 짜놓고 빠져나가지 못하게 해놓지만 정작 뒷구멍으론 바람이 술술술술 


상황이 어지러우니 글도 따라 어지럽다.

정리도 안되니 대충 마무리 지어야겠다.


책임을 지으려면 업체에겐 규모와 상관없이 일관성 있게

개인에겐 변태수준의 보안정책 요구를 지양해야 함이 맞다.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

반응형

난 얘가 소녀시대인줄 이제서야 알았네
ㅎㅎ

사람들이 말하는 머리가 나쁘다네 애국이 어쩌네 하든 뭐든 다 필요없고
군대 안가는 외국인들(남자든 여자든) 중 외모가 비슷하여 어드벤테이지를 취하는 애들은 좀 걸렀음 한단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

반응형


월계 이마트 주차장이 상당히 넓은데 이 드넓은 주차장 끝자락엔 시내버스 주차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월계 이마트가 생긴 이례 여지껏 이 주차구역에 차가 들어차는 모습을 본 기억이 없거늘 815인 오늘 정오기준 꽉 들어찬 모습이다.

알고보니 전기세 누진세 폭탄이 무서운 서민들이 아이들을 데리고 마트로 와서 벌어진 일

애 낳으면 키워주진 않아도 되니 아이 있는 집에선 에어컨이라도 마음 편하게 켤 수 있도록 악법인 누진세가 사라져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

반응형

"밥맛이 꿀맛"


꿀이 그리 좋으면 밥대신 꿀을 먹어라

꿀꽈배기를 사먹던지

밥에서 꿀 맛이 난다니 ㅡㅡ 상상만해도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

반응형

1990년대 PC통신 전성시대
한전에서 운영하던 무료 PC통신인 KIS란 BBS가 있었다.
월 만 원 남짓한 하이텔과 달리 KIS는 채팅부터 시작하여 거의 모든 서비스가 무료였기에 자주 이용하곤 하였다.

딱 한 번 한전 직원과 채팅을 할 수 있었는데
전기세와 관련하여 이야기가 나오자

이 미친 직원노무시키가 정색하며

"전기세가 아니라 전기요금입니다"
하는게 아니던가?!

당시엔 누진세 자체를 몰랐기에 "아 네... 그렇군요" 했었지만 20년이 지난 지금
한전의 천문학적인 영업이익과 징벌적 누진세를 그때도 알았다면 대뜸 논리 파괴에 앞장 섰을듯 싶다.

정부에선 7,8,9월 한시적 누진구간 조정을 통해 2~3만 원 정도를 깍아준다 한다.
하지만 한전은 원자력 돌려가며 어차피 안써도 생산해 낼 수 밖에 없는 전기세를 볼모로 요금폭탄을 연일 발사중이다.

1970년대와 달라진 기후환경(열대성으로 변화)
생활방식 변화를 무시한 누진제는 폐지만이 답이다.

더민주와 국민의당이 손을 보겠다 나서고 있고 새누리당도 눈치가 있을테니 찬바람 불기 시작해도 꾸준히 진행할지 눈여겨 봐야할 것이다.

특히 새누리당은 이번 기회에 보다 적극적으로 누진세 폐지에 앞장서 보수가 국민을 위한다란 이미지를 각인시킬 필요가 있겠다.

반면 야당은 만약 매년 되풀이 되듯 말만 무성하다 또 흐지부지 된다면 가장 욕을 먹어야 하겠다.
국민이 만들어준 과반 이상이 된 야당이다.
해결 못하는게 아니라 안하는것이다.

잘하자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

반응형

MSSQL Dynamic Query가 아닌 Static Query시 in 쿼리 사용하는 방법


A라는 테이블이 있고 idx라는 필드가 있다 치자

레코드는 1부터 5까지 총5개가 있을 경우 

일반적으로 다이나믹 쿼리를 날리면 

dim idxs

idxs = "1,2,3,4,5"

strQuery = "select idx from a where idx in ( " & idxs & ")"

이렇게 쉽다.


하지만 스태틱 쿼리로 날리려 들면 답이 없다.

dim idxs

idxs = "1,2,3,4,5"

strQuery = "select idx from a where idx in (?)"


With com

  .ActiveConnection = dbConn

  .Parameters.Append .CreateParameter ("@IDX", advarchar, adParamInput, 1000, idxs)

  .CommandText = strQuery

  rs.CursorLocation = adUseClient

  rs.Open com, , adOpenStatic, adLockReadOnly  

End With 


이렇게 만들어봐야 동작이 되지 않는다.



방법은 스토어드프로시져를 만들어도 되지만 개인적으로 stored procedure는 소스 관리상 번거롭고 거북스럽다.

이런거 하나 하나 마다 스토어드 프로시저를 만들다면 정신이 혼미해진다.

방법은 아래와 같다.

함수를 만들어서 1,2,3,4,5를 1 2 3 4 5로 바꿔주는 함수를 만들면 된다.


SET ANSI_NULLS ON

GO


SET QUOTED_IDENTIFIER ON

GO



CREATE FUNCTION [dbo].[SplitString]

    (

        @List NVARCHAR(MAX),

        @Delim VARCHAR(255)

    )

    RETURNS TABLE

    AS

        RETURN ( SELECT [Value] FROM 

          ( 

            SELECT 

              [Value] = LTRIM(RTRIM(SUBSTRING(@List, [Number],

              CHARINDEX(@Delim, @List + @Delim, [Number]) - [Number])))

            FROM (SELECT Number = ROW_NUMBER() OVER (ORDER BY name)

              FROM sys.all_objects) AS x

              WHERE Number <= LEN(@List)

              AND SUBSTRING(@Delim + @List, [Number], LEN(@Delim)) = @Delim

          ) AS y

        );


GO


그리고 static query에선 아래와 같이 사용하면 잘 스태틱 쿼리에서도 in query를 사용할 수 있음.


dim idxs

idxs = "1,2,3,4,5"

strQuery = "select idx from a where idx in (  select * from SplitString (?, ',')  )"


With com

  .ActiveConnection = dbConn

  .Parameters.Append .CreateParameter ("@IDX", advarchar, adParamInput, 1000, idxs)

  .CommandText = strQuery

  rs.CursorLocation = adUseClient

  rs.Open com, , adOpenStatic, adLockReadOnly  

End With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

반응형

웹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화면 출력을 다룰일이 있다.

프린트 자체는 javascript:print(); 만 써주면 출력이 가능하지만  페이지별로 나눠 출력하고 싶을땐 난감할 수 있ek.

이때 쉽고도 정확한 방법이 있다.출력하고 싶은 내용 다음으로 아래와 같이 DIV태그를 통해 한줄만 넣어주면 이 뒤로 나오는 내용은 다음 페이지로 출력된다.


<div style='page-break-before:always'></div>



<html>

...중간생략...

1페이지

...중간생략...

</html>

<div style='page-break-before:always'></div>




<html>

...중간생략...

2페이지

...중간생략...

</html>

<div style='page-break-before:always'></div>


이렇게만 써주면 페이지별로 잘 분리되어 출력이 가능하다.



이게 기본이며 before 또는 after의 옵션으로 always,avoid,left,right,inherit 등이 있으나 그냥 always를 사용하면 그만


아주 잘 동작함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

반응형

한전 대다나다 증말

http://m.mbn.co.kr/news/news_view.mbn?news_seq_no=2975574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

반응형

요즘 지속되는 폭염도 짜증나지만 에어컨 한번 맘 놓고 켜지 못하게 만드는 낡은 한전의 누진세 때문에 불편함을 넘어 불쾌감이 수직상승 되는 시기이다.

1973년에 만들어진 이 나쁜 제도는 소비자의 소득 수준에 맞게 전기 요금을 부과하고, 저소득층 보호와 에너지 절약을 유도한다는 그럴싸한 취지에서 시작되었으나 실상은 가정 주머니를 털어 대기업 등 기업 배불리기에 악용되는 잘못된 제도이다.

도입당시 중동 오일쇼크 때문에 사회적인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었고 발전 경제 위주 정책의 한국으로선 기업을 살려야만 한다란 간절함이 묻어 있었을 것이다.

1973년 10월 제4차 중동전쟁 발발 이 후 페르시아 만의 6개 산유국들이 가격인상과 감산에 돌입, 배럴당 2.9달러였던 원유(두바이유) 고시가격은 4달러를 돌파했다. 1974년 1월엔 11.6달러까지 올라 2∼3개월 만에 무려 4배나 폭등했다. 이 파동으로 1974년 주요 선진국들은 두 자릿수 물가상승과 마이너스 성장이 겹치는 전형적인 스태그플레이션을 겪어야 했다.대한민국의 경우, 1973년 3.5%였던 물가상승률은 1974년 24.8%로 수직상승했고, 성장률은 12.3%에서 7.4%로 떨어졌다. 무역수지 적자폭도 크게 확대(10억 달러→24억 달러)됐다. 산업구조가 경공업에서 에너지 수요가 많은 중화학공업으로 전환되는 시점이었기 때문에 충격은 더 컸다. 1975년에 이르러 성장률은 6.5%로 더 떨어졌고, 물가는 24.7%의 고공비행을 이어갔다. 후 폭풍은 2년간 지속됐고, 1976년에서야 비로소 경제는 정상을 되찾았다.

출처 : 위키백과


그 결과 누군가는 손해를 보아야 했으니 그 손해를 국민이 일반 가정이 기꺼이 받아들인(받아들일 수 밖에) 결과가 40년 넘게 이어져 오고 있는 현실이다.




내 알기론 일반 가정은 최저 kWh대비 최고 kWh 누진 구간이 11배가 넘도록 설계되어 있는것으로 알고 있다.

한국의 전기 사용량은 OECD평균 2배 넘게 쓰고 있다지만 조금만 살펴보면 이런 통계는 일반 국민이 아닌 기업들이 받고 있는 특혜 때문이란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일반 가정용의 누진세와 달리 기업용은 야간엔 야간 할인이라 싸게 공급하고 전력은 전력대로 85% 수준으로 공급하고 있으니 도덕적일 수 없는 기업의 생리상 기름으로 돌릴 수 있는 설비도 전기 시설로 대체하여 돌린다 하니 이 무슨 요술방망이를 쥐어주고 흔들어 대는 격이 아닌가 싶다.

정의당에서 운영하던 팟캐스트인 노유진의 정치카페에선 원전을 짓기 시작한 70년대 이후 급격히 야간 근무가 늘어난 이유가 원전의 값싼 전기세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었다.
이윤즉슨 원전은 일반 발전과 달리 한번 돌리면 멈출 수 없기에 놀릴바엔 싸게 공급해버리는게 이익이란 계산 때문이라나...
내 인권 숭배론자도 아니지만 원전 하나가 이렇게 근로자의 생활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상황에서 기업이 값싼 전기료를 마다할 이유가 없다란 반증 아닌가 판단된다.



이렇듯 불합리하고 낡은 제도인 가정용 누진세에 불만이 고조되고 집단 소송(실상은 개발 소송 다발성)까지 일어나니 마지못해 어느정도 논의는 불가피하다라는게 전문가들의 시선이다.

전문가들이 아니더라도 1970년대의 기후 환경과 열대성으로 바뀌고 있는 2016년 현재의 기후가 확연히 다르고 사람들의 생활 수준 역시 달라진 상황에서 대기업 위주의 자동차세 감면 따위가 아닌 보다 실질적이고 정직한 방향의 전기세 누진세 제도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시점이라 생각한다.


끝으로 한국의 전기 사용 실태와 미국 일본의 전기 사용 실태 데이터를 올려본다.

산업용 전력 소비 비율은 52%에 달했으나, 가정용은 13%에 불과했다. 공공·상업용은 32%를 차지했다. 미국(산업용 23%, 가정용 37%, 공공·상업용 36%), 일본(산업용 30%, 가정용 31%, 공공·상업용 36%) 등 각 전력 소비 비율이 비슷한 OECD 다른 국가들과는 대조적이다.

출처 : 비주얼다이브

반응형
Posted by Hippalus
,